<법>

제67조(과태료) 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 3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.  <신설 2019. 4. 23.>

1. 제43조제1항을 위반하여 임대의무기간 중에 민간임대주택을 임대하지 아니한 자

2. 제43조제4항을 위반하여 임대의무기간 중에 임대사업자가 아닌 자에게 민간임대주택을 양도한 자

3. 제44조에 따른 임대조건 등을 위반하여 민간임대주택을 임대한 자

②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.  <개정 2017. 1. 17., 2018. 1. 16., 2019. 4. 23.>

1. 제42조제4항을 위반하여 신고를 하지 아니한 임대사업자

2. 삭제  <2019. 4. 23.>

3. 삭제  <2019. 4. 23.>

4. 제45조를 위반하여 임대차계약을 해제ㆍ해지하거나 재계약을 거절한 임대사업자

5. 제46조에 따른 임대차계약 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자

6. 제47조에 따른 표준임대차계약서를 사용하지 아니한 임대사업자

7. 제50조를 위반하여 준주택을 주거용이 아닌 용도로 사용한 자

8. 제53조제1항  제2항에 따라 특별수선충당금을 적립하지 아니하거나 입주자대표회의에 넘겨주지 아니한 자

③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.  <개정 2018. 8. 14., 2019. 4. 23., 2019. 11. 26.>

1. 제5조의3을 위반하여 설명하지 않거나 설명한 사항을 확인받지 아니한 자

2. 제7조를 위반하여 등록사항 변경신고 또는 말소신고를 하지 아니한 주택임대관리업자

3. 제12조에 따른 현황 신고를 하지 아니한 주택임대관리업자

4. 제48조에 따른 설명의무를 게을리한 임대사업자

5. 제50조제2항, 제60조 및 제61조에 따른 보고, 자료의 제출 또는 검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하거나 거짓으로 보고한 자

6. 제52조제4항을 위반하여 임차인대표회의와 관리규약 제정ㆍ개정 등을 협의하지 아니한 임대사업자

④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.  <개정 2018. 8. 14., 2019. 4. 23.>

1. 제5조제3항을 위반하여 등록사항 말소신고를 하지 아니한 임대사업자

2. 제13조제1항  제2항에 따른 위ㆍ수탁계약서 작성ㆍ교부 및 보관의무를 게을리한 주택임대관리업자

2의2. 제43조제2항 또는 제3항을 위반하여 민간임대주택 양도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민간임대주택을 양도한 자

3. 제52조제2항을 위반하여 임차인대표회의를 구성할 수 있다는 사실 또는 구성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임차인에게 통지하지 아니한 임대사업자

⑤ 이 조에 따른 과태료는 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나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부과ㆍ징수한다.  <개정 2019. 4. 23.>

 

<시행령>

제55조(과태료의 부과기준 등) ① 법 제67조에 따른 과태료의 부과기준은 별표 3과 같다. <개정 2019. 10. 22.>

②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민간임대주택의 소재지를 관할하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과태료를 부과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임대사업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통보해야 한다.

 

이 경우 임대사업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통보받은 사항을 등록대장에 기록해야 한다. <신설 2019. 10. 22.>

[제목개정 2019. 10. 22.]

 

 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 [별표 3] <개정 2020. 5. 26.>
과태료의 부과기준(55조 관련)


1. 일반기준
. 위반행위의 횟수에 따른 과태료의 부과기준은 최근 1년간 같은 위반행위로 과태료를 부과받은 경우에 적용한다. 이 경우 위반 횟수는 같은 위반행위에 대하여 과태료 부과처분을 한 날과 처분 후 다시 같은 위반행위를 적발한 날을 각각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다. 다만,  67조제1항제2에 해당하는 경우에는 질서위반행위규제법 13조제2항에 따라 임대하지 않거나 양도한 민간임대주택 호수당 과태료를 부과한다.
. 과태료 부과 시 위반행위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부과금액이 많은 과태료를 부과한다.
. 부과권자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2호에 따른 과태료 금액의 2분의 1의 범위에서 그 금액을 늘릴 수 있다. 다만, 과태료를 늘려 부과하는 경우에도 법 제67조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과태료 금액의 상한을 넘을 수 없다.
1) 위반의 내용ㆍ정도가 중대하여 임차인등에게 미치는 피해가 크다고 인정되는 경우
2) 법 위반상태의 기간이 6개월 이상인 경우
3) 그 밖에 위반행위의 정도, 위반행위의 동기와 그 결과 등을 고려하여 늘릴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
. 부과권자는 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2호에 따른 과태료 금액의 2분의 1의 범위에서 그 금액을 줄일 수 있다. 다만, 과태료를 체납하고 있는 위반행위자의 경우에는 그 금액을 줄일 수 없으며, 감경 사유가 여러 개 있는 경우라도 감경의 범위는 과태료 금액의 2분의 1을 넘을 수 없다.
1) 위반행위자가 질서위반행위규제법 시행령 2조의2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
2) 위반행위가 사소한 부주의나 오류로 인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
3) 위반행위자가 위반행위를 바로 정정하거나 시정하여 해소한 경우
4) 위반행위자가 사업여건의 악화 및 현저한 손실이 발생하는 등의 사정이 있는 경우
5) 그 밖에 위반행위의 횟수, 정도, 위반행위의 동기와 그 결과 등을 고려하여 감경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
2. 개별기준
(단위: 만원)
위반행위 근거 법조문 과태료 금액
1차 위반 2차 위반 3차 이상 위반
. 임대사업자가 법 제5조제3항을 위반하여 등록사항 말소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법 제67조제4항제1 50 70 100
. 법 제5조의3을 위반하여 설명하지 않거나 설명한 사항을 확인받지 않은 경우 법 제67조제3항제1 500 500 500
. 주택임대관리업자가 법 제7조를 위반하여 등록사항 변경신고 또는 말소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법 제67조제3항제2 200 400 500
. 주택임대관리업자가 법 제12조에 따른 현황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법 제67조제3항제3 200 400 500
. 주택임대관리업자가 법 제13조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위ㆍ수탁계약서 작성ㆍ교부 및 보관의무를 게을리한 경우 법 제67조제4항제2 50 70 100
. 임대사업자가 법 제42조제4항을 위반하여 민간임대주택 공급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법 제67조제2항제1 500 700 1,000
. 법 제43조제1항을 위반하여 임대의무기간 중에 민간임대주택을 임대하지 않은 경우 법 제67조제1항제1 임대주택당 3,000
. 법 제43조제2항 또는 제3항을 위반하여 민간임대주택 양도신고를 하지 않고 민간임대주택을 양도한 자 법 제67조제4항제2호의2 임대주택당 100
. 법 제43조제4항을 위반하여 임대의무기간 중에 임대사업자가 아닌 자에게 민간임대주택을 양도한 경우 법 제67조제1항제2 임대주택당 3,000
. 법 제44조에 따른 임대조건 등을 위반하여 민간임대주택을 임대한 경우 법 제67조제1항제3


1) 위반건수가 10건 이상인 경우
2,000 3,000 3,000
2) 위반건수가 2건 이상 10건 미만인 경우
1,000 2,000 3,000
3) 위반건수가 1건인 경우
500 1,000 2,000
. 임대사업자가 법 제45조를 위반하여 임대차계약을 해제ㆍ해지하거나 재계약을 거절한 경우 법 제67조제2항제4 500 700 1,000
. 법 제46조에 따른 임대차계약 신고를 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 법 제67조제2항제5 500 700 1,000
. 임대사업자가 법 제47조에 따른 표준임대차계약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법 제67조제2항제6 500 700 1,000
. 임대사업자가 법 제48조에 따른 설명의무를 게을리한 경우 법 제67조제3항제4 500 500 500
. 법 제50조를 위반하여 준주택을 주거용이 아닌 용도로 사용한 경우 법 제67조제2항제7 500 700 1,000
. 법 제50조제2, 60조 및 제61조에 따른 보고, 자료의 제출 또는 검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하거나 거짓으로 보고한 경우 법 제67조제3항제5 100 200 300
. 임대사업자가 법 제52조제2항을 위반하여 임차인대표회의를 구성할 수 있다는 사실 또는 구성해야 한다는 사실을 임차인에게 통지하지 않은 경우 법 제67조제4항제3 50 70 100
. 임대사업자가 법 제52조제4항을 위반하여 임차인대표회의와 관리규약 제정ㆍ개정 등을 협의하지 않은 경우 법 제67조제3항제6

500 500 500
. 법 제53조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특별수선충당금을 적립하지 않거나 입주자대표회의에 넘겨주지 않은 경우 법 제67조제2항제8 500 700 1,000
[별표 3] 과태료의 부과기준(제55조 관련).hwp
0.06MB

 

 

 

 

 

#주택임대사업자 과태료부과기준

+ Recent posts